분류 전체보기14 [미중분쟁] 미국의 대(對)중국 관세 부과 계획 - 태양광 패널 미국 정부가 태양광 셀에 대한 대(對)중국 관세를 두 배 올리겠다고 한다. 중국 정부가 대규모 보조금을 지급하며 공급 과잉 사태를 야기했으며, 이로 인해 인위적으로 낮은 가격의 중국산 태양광 패널이 전세계로 쏟아지며 미국의 태양광 산업에 큰 타격을 입혔다는 게 공식적인 명분이다. (실상은 11월 대선을 위한 포퓰리즘...) 실제로 이번 달 기준 태양광 패널 가격은 와트 당 67원을 기록하며 저가를 면치 못하고 있다. 태양광 패널 및 부품에 대한 관세 인상중국에서 수입되는 태양전지 및 모듈(패널)에 대한 관세를 2026년까지 25%에서 50%로 인상 예정이러한 높은 관세는 미국의 태양광 산업을 보호하기 위한 것이지만, 태양광 설치 비용을 높여 재생에너지 성장을 저해할 수도 있음양면 태양광 패널 관.. 2024. 5. 23. 국내 상장된 ETF로 미국 M7 빅테크 기업들 투자하기 – 미국나스닥100, 매그니피센트7 (M7) 오늘은 국내에 상장된 ETF 중에서 미국 빅테크 기업들에 집중 투자하는 ETF 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알아보자. IRP나 개인연금 같은 연금계좌나 ISA 계좌에서 투자하면 수익에 대한 절세 혜택을 누릴 수 있고, 따로 환전을 할 필요도 없어 간편하게 미국 주식에 투자할 수 있는 방법이다. 목차 - 미국나스닥100 ETF - M7 포함, 미국 TOP 빅테크 집중 투자형 ETF 3종 정리 우선 가장 일반적인 투자상품은 미국 나스닥100 ETF 상품이다. - 삼성자산운용 (KODEX), 미래에셋자산운용 (TIGER), KB자산운용 (KBSTAR), 한국투자신탁운용 (ACE) 등 여러 자산운용사에서 비슷한 미국 나스닥100 ETF 상품을 운용 중이니 본인이 원하는 ETF상품을 골라 매수하면 된다. - 나는 개.. 2024. 1. 28. 2024년 늘어나는 ISA 계좌의 세제 혜택 2024년에는 국민들의 자산 형성을 돕고 투자 활성화를 위한 정부 노력의 일환으로 ISA 계좌의 세제 혜택을 확대할 계획이라고 한다. 실제로 ISA 계좌는 일본의 NISA 제도를 벤치마킹 한 것 이며, 일본 정부는 NISA의 세제 혜택을 확대하고 여러 주식 시장 부양책을 선보여 최근 일본 주식 시장을 상승으로 이끌었다. 이미 많이들 알고 있겠지만 일단 먼저 ISA 계좌로 투자하면 어떤 장점이 있는지 복기해보자. 목차 1. ISA 계좌의 장점 2. 2024년 확대되는 ISA 계좌 세제 혜택 (예정) ISA 계좌의 장점 - 중개형 ISA 계좌: 상장 주식 투자가 가능해져 금융 상품 선택 옵션의 폭이 넓어짐 - 손익 통산: 가입 기간 내 모든 금융 상품이 손익 통산되어 계산되므로 세제 금액을 줄일 수 있음 -.. 2024. 1. 27. [고배당주] 현대자동차 & 기아 역대급 실적 및 결산배당금 발표 현대와 기아차가 지난해 창사 이래 역대급 실적을 발표했다. 현대차(005380) - 2023년 연결 기준 매출액 162조 6,636억원 (+14.4% YoY) - 영업이익 15조 1,269억원 (+54.0% YoY) - 2023년 차량 판매량: 421만 6,898대 기아(000270) - 2023년 연결 기준 매출액 99조 8,084억원 (+15.3% YoY) - 영업이익 11조 6,079억원 (+60.5% YoY) - 영업이익률 11.6% (+3.2p%) - 2023년 차량 판매량: 308만 7,384대 - 북미 및 유럽 선진 국가에서 고부가가치 RV 차량 및 친환경차에 집중한 전략이 큰 성공을 거둠 결산배당 공시 현대 기아차의 지난해 결산배당금도 역대 최고 규모인 4조 4천억원 규모다. ▶ 시가배당율.. 2024. 1. 25. 찬바람이 불면 배당주를 사야한다는 더 이상 맞지 않다? 배당 기준일 자율화 도입 2023년부터는 한국 배당주 주식 투자에 중요한 변화가 있습니다. 바로 배당 기준일의 자율화가 도입된 것인데요. 배당 기준일이란 배당을 받을 수 있는 주주 명부를 확정하는 날로써, 배당 기준일에 해당 주식을 보유하고 있어야 배당을 받을 수 있는 권리가 생깁니다. 배당 기준일 다음날은 배당 받을 권리가 사라지는 배당락일입니다. 2023년부터는 배당기준일 자율화 도입 기존 한국 시장에서는 배당 기준일이 매년 연말 (12월 31일) 이었습니다. 국내 기업들 대부분 12월 결산 법인이기 때문인데요. 따지고 보면 연말에 미리 누가 배당을 받을지 여부를 미리 결정하고, 그 다음 해 2~3월 주주총회에서 배당금을 확정하는 방식 이었습니다. 이런 방식은 배당 투자자들의 입장에서는 확정된 배당금 지급액이 얼마인지 정확히.. 2024. 1. 21. 매그니피센트 7 (Magnificent 7 = M7) 주식 투자해야 하는 이유 미국 빅테크 시장에 예전에는 FAANG이 있었다면 요즘은 매그니피센트7 (Magnificent 7) 이다. - Magnificent 7은 2023년에 Bank of America의 애널리스트 마이클 하넷이 이름붙인 단어로 - Apple (AAPL), Microsoft (MSFT), Alphabet (GOOGL), Amazon (AMZN), NVIDIA (NVDA), Tesla (TSLA), Meta Platforms (Meta) 이렇게 7개의 빅테크 기업을 지칭하며 - Netflix (NFLX)까지 포함하여 Magnificent 8이라고 칭하는 경우도 있다. S&P 500 과의 수익률 비교 - Magnificent 7은 S&P 500 전체 시총의 28% 비중을 차지하며 - 2023년에 S&P 500의 수.. 2024. 1. 21. 2024 세계 각국 주요 대선 이슈 및 시사점 정리 - 대만, 인도, 유럽연합(EU), 미국 2024년에는 전세계 절반이 선거를 할 예정이라고 할 정도로 글로벌 주요 국가들의 선거가 많이 예정되어 있다. 이 중에서도 글로벌 시장에 영향력이 높을 것으로 예상되어 가장 중요한 선거 4건에 대해 알아보자. (1) 대만: 1월 13일 총통 선거 (2) 인도: 4~5월에 걸쳐 총선 진행 (3) 유럽연합 EU 의회 (European Parliament) 선거: 6월 9일 (4) 미국 대선: 11월 5일 (1) 대만: 1월 13일 총통 선거 - 민진당 라이칭더 (친美, 현 정권) vs 국민당 허유유이 (친中) 대결구도 - 현재 민진당과 국민당 지지율은 오차범위 이내이며 (각각 30%~35% 수준) - 제 3당인 민중당과 "중도"층 유권자들의 표심이 결정적일듯 - 민진당 연임 시 현재처럼 미국과의 관계 개선 .. 2024. 1. 13. 찬바람이 불면 생각나는 배당주 :: 배당주에 투자해야 하는 이유 :: 배당주는 언제 투자해야 할까? :: 잃지않는 투자 워런 버핏이 말하는 유명한 투자 원칙이 있죠. 워런 버핏의 첫 번째 원칙은 “원금을 잃지 않는 것”이고, 두 번째 원칙은 첫 번째 원칙을 꼭 지키는 것입니다. 이 말인 즉슨, 투자를 할 때 장기적으로 복리효과를 누리며 효과적으로 재산을 증식하기 위해서는 잃지 않는 투자가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말입니다. 배당주 투자 해야하는 이유 (1) 장기간 복리 효과 (2) 은행 금리보다 높은 수익 (3) 매매차익까지 노릴 수 있음 (배당성장주) 1. 장기간 누릴 수 있는 복리 효과 장기적으로 안전하게 투자하기 위해서 고려할 수 있는 투자 대상이 바로 배당주 투자입니다. 배당주 투자로 단기간 고수익을 내기는 어려울 수 있지만, 낮은 리스크로 장기간 복리효과를 누리며 투자할 수 있게 해줍니다. 우선, 꾸준히 배당을 하는 .. 2023. 11. 18. 좋은 배당주는 어떤 배당주? :: 고배당주 투자종목 고르는법 :: 잃지 않는 투자 투자하기 좋은 배당주는 어떻게 고르면 될까요? 배당이익률이 높으면 무조건 좋은 배당주일까요? 아닙니다! 오늘은 투자 리스크 대비 수익이 좋은 고배당주를 고르는 방법 4가지를 소개합니다. 좋은 배당주 고르는 법 요약 (1) 배당성향 체크하기 – 주주 친화적인 기업인가? (2) 과거 5년간의 배당금 상승률 체크 – 배당금을 꾸준히 늘려왔는가? (3) 시중금리보다 높은 배당이익율은 필수 (4) 이왕이면 최대주주 지분이 높은 주식을 택할 것 1. 배당성향 체크 필수! 배당 투자를 할 때 첫 번째로 고려해야 할 부분은 해당 기업의 배당성향 입니다. 배당성향이란, 기업이 벌어들인 수익 중에서 얼만큼을 배당금으로 주주들에게 환원하였는지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따라서, 배당성향이 높을수록 주주에게 돌아가는 수익분이 높아.. 2023. 11. 18. 형편성에 맞지 않는 은행 횡재세가 왠말? 정부는 은행 소액 주주를 울리지 마라... 5대 시중은행의 올해 (2023년) 3분기까지의 누적 이자수익이 31조원 수준이라고 합니다. 작년과 비교하면 7%, 약 2조원 넘게 늘었는데요. 높아진 시장금리에 힘 입어 은행 이익이 커지자 정부에서 이를 규제하고자 이른바 “은행 횡재세 (windfall tax)” 도입을 위한 법안을 발의 했습니다. 높아진 은행 이익에 이른 바 “초과 이익 세금”을 부과하자는 건데요. 한마디로 일정 기준보다 더 많이 번 수익에 대해 정부가 추과로 이중 과세하겠다는 얘기 입니다. 불과 올해 초인 2023년 2월에만 해도 정부는 “은행 횡재세 부과 계획이 없으며, 은행 횡재세는 시장 원리에도 맞지 않고 경제 기본 원리에도 맞지 않는다”고 했었는데, 갑자기 180도 태세 전환을 했네요. 완전히 앞뒤가 맞지 않습니다. 도대체 .. 2023. 11. 18.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