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배당주 투자5 [고배당주] 현대자동차 & 기아 역대급 실적 및 결산배당금 발표 현대와 기아차가 지난해 창사 이래 역대급 실적을 발표했다. 현대차(005380) - 2023년 연결 기준 매출액 162조 6,636억원 (+14.4% YoY) - 영업이익 15조 1,269억원 (+54.0% YoY) - 2023년 차량 판매량: 421만 6,898대 기아(000270) - 2023년 연결 기준 매출액 99조 8,084억원 (+15.3% YoY) - 영업이익 11조 6,079억원 (+60.5% YoY) - 영업이익률 11.6% (+3.2p%) - 2023년 차량 판매량: 308만 7,384대 - 북미 및 유럽 선진 국가에서 고부가가치 RV 차량 및 친환경차에 집중한 전략이 큰 성공을 거둠 결산배당 공시 현대 기아차의 지난해 결산배당금도 역대 최고 규모인 4조 4천억원 규모다. ▶ 시가배당율.. 2024. 1. 25. 찬바람이 불면 배당주를 사야한다는 더 이상 맞지 않다? 배당 기준일 자율화 도입 2023년부터는 한국 배당주 주식 투자에 중요한 변화가 있습니다. 바로 배당 기준일의 자율화가 도입된 것인데요. 배당 기준일이란 배당을 받을 수 있는 주주 명부를 확정하는 날로써, 배당 기준일에 해당 주식을 보유하고 있어야 배당을 받을 수 있는 권리가 생깁니다. 배당 기준일 다음날은 배당 받을 권리가 사라지는 배당락일입니다. 2023년부터는 배당기준일 자율화 도입 기존 한국 시장에서는 배당 기준일이 매년 연말 (12월 31일) 이었습니다. 국내 기업들 대부분 12월 결산 법인이기 때문인데요. 따지고 보면 연말에 미리 누가 배당을 받을지 여부를 미리 결정하고, 그 다음 해 2~3월 주주총회에서 배당금을 확정하는 방식 이었습니다. 이런 방식은 배당 투자자들의 입장에서는 확정된 배당금 지급액이 얼마인지 정확히.. 2024. 1. 21. 찬바람이 불면 생각나는 배당주 :: 배당주에 투자해야 하는 이유 :: 배당주는 언제 투자해야 할까? :: 잃지않는 투자 워런 버핏이 말하는 유명한 투자 원칙이 있죠. 워런 버핏의 첫 번째 원칙은 “원금을 잃지 않는 것”이고, 두 번째 원칙은 첫 번째 원칙을 꼭 지키는 것입니다. 이 말인 즉슨, 투자를 할 때 장기적으로 복리효과를 누리며 효과적으로 재산을 증식하기 위해서는 잃지 않는 투자가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말입니다. 배당주 투자 해야하는 이유 (1) 장기간 복리 효과 (2) 은행 금리보다 높은 수익 (3) 매매차익까지 노릴 수 있음 (배당성장주) 1. 장기간 누릴 수 있는 복리 효과 장기적으로 안전하게 투자하기 위해서 고려할 수 있는 투자 대상이 바로 배당주 투자입니다. 배당주 투자로 단기간 고수익을 내기는 어려울 수 있지만, 낮은 리스크로 장기간 복리효과를 누리며 투자할 수 있게 해줍니다. 우선, 꾸준히 배당을 하는 .. 2023. 11. 18. 좋은 배당주는 어떤 배당주? :: 고배당주 투자종목 고르는법 :: 잃지 않는 투자 투자하기 좋은 배당주는 어떻게 고르면 될까요? 배당이익률이 높으면 무조건 좋은 배당주일까요? 아닙니다! 오늘은 투자 리스크 대비 수익이 좋은 고배당주를 고르는 방법 4가지를 소개합니다. 좋은 배당주 고르는 법 요약 (1) 배당성향 체크하기 – 주주 친화적인 기업인가? (2) 과거 5년간의 배당금 상승률 체크 – 배당금을 꾸준히 늘려왔는가? (3) 시중금리보다 높은 배당이익율은 필수 (4) 이왕이면 최대주주 지분이 높은 주식을 택할 것 1. 배당성향 체크 필수! 배당 투자를 할 때 첫 번째로 고려해야 할 부분은 해당 기업의 배당성향 입니다. 배당성향이란, 기업이 벌어들인 수익 중에서 얼만큼을 배당금으로 주주들에게 환원하였는지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따라서, 배당성향이 높을수록 주주에게 돌아가는 수익분이 높아.. 2023. 11. 18. 형편성에 맞지 않는 은행 횡재세가 왠말? 정부는 은행 소액 주주를 울리지 마라... 5대 시중은행의 올해 (2023년) 3분기까지의 누적 이자수익이 31조원 수준이라고 합니다. 작년과 비교하면 7%, 약 2조원 넘게 늘었는데요. 높아진 시장금리에 힘 입어 은행 이익이 커지자 정부에서 이를 규제하고자 이른바 “은행 횡재세 (windfall tax)” 도입을 위한 법안을 발의 했습니다. 높아진 은행 이익에 이른 바 “초과 이익 세금”을 부과하자는 건데요. 한마디로 일정 기준보다 더 많이 번 수익에 대해 정부가 추과로 이중 과세하겠다는 얘기 입니다. 불과 올해 초인 2023년 2월에만 해도 정부는 “은행 횡재세 부과 계획이 없으며, 은행 횡재세는 시장 원리에도 맞지 않고 경제 기본 원리에도 맞지 않는다”고 했었는데, 갑자기 180도 태세 전환을 했네요. 완전히 앞뒤가 맞지 않습니다. 도대체 .. 2023. 11. 18.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