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에는 국민들의 자산 형성을 돕고 투자 활성화를 위한 정부 노력의 일환으로 ISA 계좌의 세제 혜택을 확대할 계획이라고 한다.
실제로 ISA 계좌는 일본의 NISA 제도를 벤치마킹 한 것 이며, 일본 정부는 NISA의 세제 혜택을 확대하고 여러 주식 시장 부양책을 선보여 최근 일본 주식 시장을 상승으로 이끌었다.
이미 많이들 알고 있겠지만 일단 먼저 ISA 계좌로 투자하면 어떤 장점이 있는지 복기해보자.

목차
1. ISA 계좌의 장점
2. 2024년 확대되는 ISA 계좌 세제 혜택 (예정)
ISA 계좌의 장점
- 중개형 ISA 계좌: 상장 주식 투자가 가능해져 금융 상품 선택 옵션의 폭이 넓어짐
- 손익 통산: 가입 기간 내 모든 금융 상품이 손익 통산되어 계산되므로 세제 금액을 줄일 수 있음
- 세제 혜택: 가입 기간 내 발생한 손익을 통산한 후 순이익에 대해 일정 금액 비과세 혜택 및 초과금액에 대한 9.9% 분리과세 혜택 적용. 따라서, 배당이 목적인 투자자라면 특히 유리함 (일반 계좌에서의 배당 세율은 15.4%)
- 연금계좌로 세금 이연 가능: ISA 만기 시 연금계좌로 이제하면 추가 세제 혜택 있음
- 3년 의무 보유 기간을 채우지 못하더라도 불이익은 없으며 다만 세제 혜택은 받을 수 없어짐
- 참고로, ISA계좌를 통한 금융소득은 계좌 만기 때 세금이 부과된다.
2024년 ISA 계좌 세제 혜택 확대 예정
- 정부는 1월 17일, 절세형 투자상품인 ISA(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의 납입한도와 비과세 한도를 높이고 가입대상을 확대하여 국민 자산형성을 위한 세제 지원을 확대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
- 참고로, 정부는 2025년 도입 예정이었던 금융투자소득세(일명 금투세 = 주식 양도세)도 폐지 추진할 것을 발표했다. 또한, 이사회가 소액주주의 이익을 적극 반영할 수 있도록 상법 개정도 추진할 것이라고 한다.
- 정부는 2월 중에 ISA 관련 법 개정안을 제출할 예정이며, 변경된 내용이 언제부터 적용될지는 아직 미정이다.
이번에 확대되는 ISA 계좌의 혜택은 아래와 같다.
1. 납입 한도 확대
- 기존 연 2천만원 (3년간 총 6천만원) → 4천만원 (3년간 총 1.2억원)
* ISA 계좌 의무가입기간 3년
* 납입한도 다음 년도로 이월가능
* 납입원금 내 중도 인출 가능, 재납입은 불가
2. 비과세 한도 확대
- 일반형: 200만원 (현행) → 500만원 (변경 예정)
- 서민형: 400만원 (현행) → 1,000만원 (변경 예정)
3. 국내 투자형 ISA 신설
- (현행) 직전 3개년 중 1회 이상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는 ISA 계좌 가입 불가
- (향후)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도 가입 가능
* 금소세 대상자 뿐 아니라 일반 국민들도 가입 가능
- 다만, 국내 투자형 ISA 는 국내 주식과 국내 주식형 펀드/ETF 등으로 투자 대상이 한정되며
- 비과세 혜택은 적용되지 않지만 15.4% 분리과세 혜택을 적용할 예정
2023.07.21 - [절세 전략] - ISA 중개형 계좌의 장단점 비교 및 절세를 위한 투자 전략 정리
ISA 중개형 계좌의 장단점 비교 및 절세를 위한 투자 전략 정리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Individual Savings Account, ISA)는, 하나의 계좌로 예금, 펀드, 주식, ELS등 여러 종류의 금융상품에 투자가 가능한 통합계좌를 말한다. 투자 수익에 대한 비과세 혜택이 있어 금융
richcousin.tistory.com
'절세 전략' 카테고리의 다른 글
ISA 중개형 계좌의 장단점 비교 및 절세를 위한 투자 전략 정리 (0) | 2023.07.21 |
---|